필리핀 탈 화산 폭발에 전 세계의 눈이 필리핀으로 쏠렸다.
현재 200여 차례 계속되는 지진과 함께 추가로 큰 폭발이 일어날 가능성이 높은 가운데, 필리핀 당국은 1991년 발생한 피나투보 화산 폭발과 맞먹는 영향을 미치지 않을까 우려하고 있다.
그렇다면 20세기 기후에 영향을 미쳤다는 피나투보 화산 폭발의 그 영향은 어느 정도였을까?
먼저 피나투보 화산(Pinatubo, 火山)은 필리핀의 마닐라 남서쪽 80km 지점, 루손 섬 팜팡가주의 앙헬레스에 위치한 화산(해발 1748m)이다.
지난 600여 년 동안 화산활동이 없었던 이 화산은 1991년 6월, 화산활동을 재개해 분화구에서 화산재와 연기를 지상 4800m 높이까지 쏟아내면서 몇 차례의 폭발, 용암을 대량 분출했다.
화산재와 연기는 마닐라 북쪽 3개주 일대를 완전히 뒤덮었다.
그리고 시속 100km의 속도로 퍼져 서쪽으로 30km 떨어진 남중국해상까지 분출물이 떨어졌으며, 수백만 톤의 바위 파편들이 날려 약 1천여 명의 목숨을 앗아가기도 했다.
또한 피나투보 화산이 폭발했을 때 2,000만 톤의 이산화황이 대기 중으로 방출되었는데, 이로 인해 1992년 전 세계 평균 기온이 약 0.8℃ 정도 떨어졌다.
그뿐만 아니라 대기 중의 이산화황이 증가하면서 생긴 연무가 태양광을 반사시켰다.
이러한 영향은 1993년까지 지속되었다.
1991년 피나투보 화산 폭발 당시, 산 경사지로 흘러내려 퇴적됐던 막대한 양의 화산 잔해와 진흙 등은 홍수와 같은 자연 재해로 또다시 흘러내려 산자락에 위치한 마을들을 뒤덮었다.
이로 인해 1백 명 이상이 사망하고, 지도상에서 해당 지역이 사라지는 등 여러 참사가 이어졌다.
'뉴스 > 해외' 카테고리의 다른 글
확진자가 전한 '우한 폐렴 증상' (+현재 중국 상황) (0) | 2020.01.21 |
---|---|
"순식간에 핏빛 세상" 호주의 한 마을을 집어삼킨 거대 모래폭풍 (0) | 2020.01.17 |
(필리핀 화산 폭발) 탈 화산 분출물 우주서 포착…일부 항공편 재개 (0) | 2020.01.14 |
(필리핀 화산 폭발) "칼화산 폭발, 몇 개월 지속될 수 있다!" 경고 (0) | 2020.01.13 |
(필리핀 화산 폭발) 필리핀, 마닐라 북쪽 '클락 공항'마저 잇따라 폐쇄 (0) | 2020.01.13 |