반응형


* prompt문

prompt("__", "초기값"): 경고창에서 값을 받을 때 이용한다.


↓ 출력화면


* array 배열

'[ ]'기호가 붙으면 "배열"

하나의 변수에는 하나의 리터럴이 오는데, 변수에 배열을 적용하면 하나가 아닌 그 이상의 값을 넣어줄 수 있다.


예를 들어, 

var a=[10, 20, 30];

a는 배열 변수.

10, 20, 30은 원소.

이 식을 풀어 쓰면, a[0]=10, a[1]=20, a[2]=30.

여기서 0, 1, 2는 index라고 불리는데, 0부터 시작된다. 

따라서 a의 인덱스는 0, 1, 2로, 총 3개가 있는 셈.

또한 a의 배열의 총 개수는 a.length라고도 쓴다.



↓ 출력화면




↓ 출력화면



→이어 자바스크립트 반복문(loop): while문, for문, for~in문, forEach문 간단 정리(예제)


반응형
반응형



자바스크립트에서 리터럴(값)이 표시되는 방법 중...


* boolean(불린): 불린은 true와 false로 표현된다.

true의 경우, 1로 표시 

false의 경우, 0으로 표시       ->단순 숫자인 경우에는 true(1)로 출력된다.



↓출력화면


w1은 단순 숫자이기 때문에 ok로 출력된다.



* undefined: false에 속한다.


↓출력화면


이 경우, 숫자 1과 문자 "1"은 같다고 인식된다. 왜냐하면 ==는 값만 따지기 때문. 따라서 숫자(값), 문자(형태)를  구분해서 판별하고 싶다면 ===를 써서 구분해야 한다.



↓출력화면


         

* typeof();

 : 괄호 안에 있는 속성을 판별해 준다.

ex) document.write(typeof(1));   ->1의 특성을 판별해 줌.


* 삼항 조건문

식-> (조건)? 참:거짓;


예를 통해 이해하는 것이 간단하다.



↓출력화면

  

 

* confirm("___");

:경고창에서 true, false를 받는다.

↓출력화면

  

↓ 확인 클릭시 출력 화면    


↓ 취소 클릭시 출력 화면  

→이어 prompt문, array 배열 간단하게 이해하기(예제)


반응형
반응형



자바스크립트에서 문자를 쓸 때는  " "(큰 따옴표)를 써서 숫자와 구분한다.

※변수에 한 번 기억되면 다시는 바뀌지 않는다.


*연산자

1. 산술연산자: +,-,*(곱하기, Asterisk), / (나누기, Slash), %(나머지)

2. 대입연산자: =, +=, -=, *=

3. 결합연산자: +(이항연산자-문자, 문자+숫자)

4. 증감연산자: ++(증가),--(감소)

5. 관계연산자: >, <, >=, <=, ==, !=, ===, !==

A>=B(A가 B보다 크거나 같다.) / A<=B(A가 B보다 작거나 같다.) / ==(값이 같다) !=(값이 같지 않다) / ===(값과 형태가 같다) !==(값과 형태가 같지 않다)

6. 논리 연산자: &&(and), ||(or), !

7. 조건문



조건문

조건문은 단순 조건문다중조건문, 2가지로 나뉜다. 


1. 단순조건문

if(조건식) { 실행문 1; } else { 실행문 2; }

→만약 조건식이 참이라면 실행문1를 실행하고 그렇지 않다면(else) 실행문 2를 실행하라.


2. 다중조건문

if(조건식 1){ 실행문 1; } else if(조건식 2){ 실행문 2; } else if(조건식 3){ 실행문 3;} else if(조건식 4){ 실행문 4; }

→만약 조건식1이 참이라면 실행문 1를 실행하고, 그렇지 않다면 조건식 2를 실행해 참이라면 실행문 2를 실행하고, 그렇지 않다면 조건식 3을 실행해 참이라면 실행문 3를 실행하고… 

(연쇄적으로 조건문을 적용할 수 있다)


→이어서 boolean, 삼항조건문, confirm문 예제와 총정리 (+typeof)


반응형
반응형


자바스크립트의 기본

프로그램: 순서, 차례.

프로그래밍: 순서짜기, 차례만들기


*컴퓨터의 진행 순서: "입력→처리→출력"

입력하려면, 기억장치(메모리)가 필요.

이때의 기억장치(메모리)는 RAM(주기억장치)인데, 이것의 특성 중 하나는 "전기가 꺼지면 데이터가 모두 지워진다"는 점.

따라서 이를 위해 보조기억장치가 필요하다.

보조기억장치는 우리가 익히 알고 있는 "C, D 드라이브, 이동식 디스크 등"이 있다.


이제 본격적인 자바스크립트의 개념 정리!


먼저 컴퓨터는 처리하고자 하는 데이터를 기억해야 한다.

이때, 기억하는 장소를 '변수'. 기억하는 데이터(값)를 '리터럴'이라고 한다.


-자바스크립트에서 리터럴이 표시되는 방법(지금은 겉만 살펴보기)

1. 숫자 2. 문자 3. 불린(boolean-true,false) 4. null 5. undefined 6. 함수 7. 객체



**변수**

:리터럴(데이터)를 기억하는 장소.


*변수의 규칙

1. 반드시 첫 글자가 '영문자' or '_'으로 시작해야 한다. (숫자로 표시하면 안 됨!)

2. _, $를 제외한 특수문자 사용할 수 없다.

3. 대소문자 구분해야 한다.

4. '_'으로 이어주거나 카멜표기법을 따른다.


카멜표기법: 단어가 이어지는 구간에서 단어의 첫 음절을 대문자로 써서 구분하는 방법.

ex) backgroundColor


*변수에서 '='의 의미

'='는 '같다' 뜻이 전혀 아니다!!

"기억한다(대입한다)"라는 뜻!

ex) var aa=1;

숫자 리터럴 1을 기억장소 aa에 기억(대입)시켜라. / var은 변수라고 알려주는 문자라고 생각하면 됨.


*변수는 크게 3가지로 구분.

-선언: ex) var aa;

-할당: ex) aa=100;                →선언과 할당이 합쳐 하나로 쓸 수 있는 방법이 '초기화'

-초기화: ex) var aa=100;


→이어 자바스크립트 연산자와 if 조건문 공부하기


반응형
반응형



자바스크립트를 브라우저에 표시하는 방법에는 4가지가 있다.

해당 방법은 각각 alert(), document.write(),document.innerHTML(),console.log().


1. alert()

alert("____");

:경고창을 띄워 표시하는 방법



↓출력화면


2. document.write()

document.write("____");

:화면에 바로 표시하는 방법


↓출력화면


3. document.innerHTML()

document.getElementById("기억장소").innerHTML("리터럴");

->기억장소를 칭하는 변수와 변수에 기억되는 데이터를 리터럴을 이해해야 함.(check. 추후 공부할 것)


4. console.log().

console.log("____");

:콘솔창에 표시



↓출력화면 (F12번을 눌러서 확인)




이어서 자바스크립트 기본 개념 정리!



반응형
반응형




칼에 찔리는 꿈

진행 중인 사업이나 직장에서의 일이 원활하게 풀려 큰 성과를 이루게 될 것을 의미합니다.

또는 지금의 상태에서 한 단계 도약할 수 있는 계기가 생길 것입니다.


가족이 칼에 찔리는 꿈

재물운이 들어왔음을 의미!

특히 사업을 진행 중인 사업가라면, 더할나위없는 길몽입니다.

이는 투자 등의 기회를 얻게 되어 사업을 확장시키게 될 것을 의미합니다.


등에 칼 맞은 꿈

지금 주위에서 본인에게서 이익을 취하려는 사람이 있다는 것을 암시합니다.

주위를 조심하세요!


칼로 사람을 찌르는 꿈

심리몽.

이는 지금 세운 목표를 위해 어려움을 딛고 일어서려는 본인의 심리를 반영해 줍니다.


칼로 두 사람을 죽이는 꿈

현실에서 하나의 일을 해결하고 두 개의 결과를 얻게 될 것을 의미합니다.

이 때의 결과는 긍정적인 결과를 뜻합니다!



칼로 사람을 찔렀는데, 죽지 않고 자신을 따라오는 꿈

현재 진행하고 있는 사업이나 일이 있다면, 좋지 않은 소식이 들릴 것임을 암시합니다...ㅠ

또는 인간관계에 생각지도 못한 문제가 생겨서 회복할 수 없는 상황에 이르게 될 것을 의미하기도 합니다.

따라서 평소 일이나 인간관계에 있어 더욱 신중해야 합니다.


칼에 찔려 피나는 꿈

부와 명예를 얻게 될 것을 암시하는 길몽!

피투성이 되었으면 더욱 좋습니다!


피가 흐르는 칼을 보는 꿈

지금 소망하는 일이 있다면, 그 소망 그대로 이루어질 것을 의미합니다.


칼이 부러지는 꿈

현실에서 부와 명예를 얻게 되는 길몽!


칼에 베이는 꿈

재물운이 들어왔음을 의미합니다.

칼에 베여서 피가 났다면 더욱 좋은 기운이 들어왔음을 의미합니다!



칼 선물 받는 꿈

현재의 신분이 학생이라면, 합격운이, 직장인이라면 승진의 소식이 들리게 될 것입니다.


타인이 칼로 위협하는 꿈

소송과 같은 분쟁으로, 실제 위협을 받게 될 수도 있습니다.

 

칼을 사는 꿈

생각지도 못한 도움을 받게 되어 어려움에서 벗어나게 될 것입니다.

또는 돈 선물을 받게 될 것입니다.


 줍는 꿈

사업이나 직장, 학업 등 자신의 일을 도와줄 귀인을 만나게 될 것을 의미합니다.

이는 자신의 부뿐만 아니라 인간관계에도 좋은 영향을 미칠 것입니다.


칼싸움하는 꿈

현재 사업가라면, 경쟁사로 인해서 좋지 않은 소식을 듣게 될 것입니다.

추진 중인 계약, 거래가 있다면, 신중하게 판단하세요.



반응형
반응형



집에 불나는 꿈

결론부터 말하자면, 가정에 재물운이 들어온 꿈!

앞으로 집안에 출세하는 사람이나 집안을 일으킬 만한 일이 생길 것입니다.

만약 사업을 진행 중이라면, 크게 번창할 것을 의미합니다.


학교에 불나는 꿈

인간관계에서 갈등을 겪게 될 것입니다.

꿈 속에서 불의 정도가 클수록 갈등의 정도가 심할 것입니다ㅠ


차에 불나는 꿈

만약 본인 차에 불이 난 것이라면 본이에게 재물운이 들어온 것을 의미합니다.

현재 진행하고 있는 일이 있다면, 긍정적인 결과가 따르게 될 것입니다!



산에 불나는 꿈

건물에 불나는 꿈

현재 곤경에 처해 있다면, 이제 해결될 것을 의미합니다.

평소 걱정거리도 해결되어서 편안한 생활을 시작하게 될 것입니다.


불을 보고 도망가는 꿈

직장이나 가정에서 난처한 상황에 빠지게 될 것을 의미합니다.

이는 정신적으로나 육체적으로 심한 스트레스를 안겨줄 것입니다.ㅠ


본인 몸에 불이 붙는 꿈

대표적인 길몽!

특히 신분상승의 기회가 들어온 꿈이라고 할 수 있습니다.

직장인이라면 승진, 사업가라면 성공적인 사업가로, 취준생이라면 취직을 하게 될 것입니다!


본인 몸에 화상을 입는 꿈

현재 계약을 추진 중이라면, 완전한 계약을 하게 될 것을 의미합니다.

or 좋은 인연으로 인해 귀중한 사람을 만나게 될 것입니다.



무덤에서 불이 나는 꿈

가족 또는 가까운 지인이 질병으로 인해 고생을 겪게 될 것을 암시합니다ㅠ


강한 불로 인해 모든 것이 불 타는 꿈

곧 귀인을 만나게 될 것을 의미합니다.

현재 경제적으로 어려움을 겪고 있다면, '나'를 도와줄 조력자가 등장할 것입니다.


아파트가 불 나는 꿈

진행 중인 일이 긍정적인 결과를 갖고 오게 될 것입니다.

사업을 진행 중이라면, 번창하게 될 것입니다.


나무에 불 나는 꿈

경제적으로 어려움을 겪고 있다면, 빠른 시일에 해결될 것입니다.

사업을 시작하는 단계라면, 긍정적인 결과를 기대하셔도 좋습니다.



모든 것이 타서 재로 남은 꿈

경제적으로 어려움을 겪게 될 것을 의미합니다.

만약 무언가에 투자를 하게 된다면, 손실이 생길 것입니다ㅠ


물을 이용해 불을 끄는 꿈

자신이 가지고 있는 재산이 줄어들게 될 것을 암시합니다.

특히 부동산이나 예상밖의 사고로 인해 큰 지출이 생길 것을 의미합니다.


불길이 꺼져가는 꿈

이별을 암시하는 흉몽ㅠ

배우자나 연인과 이별하게 될 수도 있으니 평소 그 대상에게 관심을 가져야 합니다...


불 속에서 사람을 구하는 꿈

자신의 이름을 세상에 널리 알리게 될 것을 의미합니다.

또는 소속된 직장이나 단체에서 자신의 이름을 각인시키는 일이 생기고, 이를 통해 능력을 인정받게 될 것입니다.



반응형
반응형


float는 세로로 나열되어 있는 블록을 가로로 배치할 때 사용된다.

float을 사용할 때는 '꼭' 가로 사이즈를 줘야 한다.


세로로 나열된 블로마다 float:left를 적용하면 해당 블록들은 모두 왼쪽으로 차례로 나열된다.

반대로 float:right을 적용하면 해당 블록들은 오른쪽으로 나열된다.

이때 블록 아래의 블록이 딸려서 올라오는 오류가 생기기도 한다.

이를 방지하기 위해 딸려오지 않도록 아래의 해당 블록에 'clear:both'을 적용해야 한다.



"<p>태그는 블록 레벨 요소로 한 라인을 다 차지한다.

하지만 해당 예에서는 세 개의 <p>태그에 float:left를 적용하여 왼쪽으로 차례로 나열되게 했다.


'이미지 세 장'이라는 <h2>태그는 블록 레벨 요소이기 때문에 딸려오지 않는다."



이 예에서는 img에 float:left를 주게 되면서 <p>가 위로 딸려오게 되었다.
<p>태그의 텍스트는 width에 맞추어 아래로 나열되었다.

여기에 img와 <p>태그에 margin을 각각 적용해 임의로 간격을 주었다.


반응형

+ Recent posts